생활정보

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, 이렇게 좋아졌어요!

kinfo-new 2025. 9. 2. 13:40

기후행동 기회소득이 뭐길래?

‘기후행동 기회소득’은 탄소중립 실천 활동을 한 경기도민에게 지역화폐로 보상해주는 정책이에요.

아니, 그냥 환경 캠페인 아닌가요? 네 맞아요. 하지만 일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작은 실천—친환경 운전, 자전거·대중교통 이용, 다회용기 사용 등—을 포인트로 쌓고 그걸 경기 지역화폐로 받아가는 시스템이라는 점이 지금 시대에 딱 맞는 정책이죠.

참여 대상은 단 하나―경기도민이면 누구나(만 7세 이상) 가능합니다.

 

경기도 기후소득 기후행동

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요?

기회소득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매우 손쉽게 참여할 수 있어요:

  1.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‘기후행동 기회소득앱 설치
  2. 회원가입 후 경기도민 인증 완료
  3. 앱에서 실천한 행동이 자동으로 연동되고, 포인트가 적립됨
  4. 포인트를 경기지역화폐나 교통카드로 리워드 전환

이에 필요한 실천 항목도 다양합니다. 교통, 에너지 절약, 자원 순환, 인식 제고 등 총 4개 분야 18가지 실천 활동이 구축되어 있고, 활동 실적에 따라 연 최대 60,000원까지 지역화폐로 리워드를 받을 수 있어요.


어떤 활동으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
아래 표에 최근 개편된 실천 항목과 보상 기준을 정리했어요:

분야실천 활동 항목리워드 기준
교통 친환경 운전 운전 점수에 따라 5,000~10,000원 (연간) 
교통 대중교통 이용 회당 300원, 월 최대 15,000원 
교통 자전거 이용 회당 300원, 월 최대 12,000원 
교통 걷기 일일 400원, 월 최대 12,000원 
에너지 가정용 태양광 설치 대역폭에 따라 15,000~25,000원 연간 
에너지 고효율 가전 제품 구매 구매 금액의 1%, 연간 최대 10,000원 
에너지 PC 절전 프로그램 사용 회당 1,000원, 연간 1,000원 
자원순환 다회용기 이용 배달 회당 1,000원, 연간 최대 20,000원 
자원순환 다회용 컵 할인 카페 이용 회당 500원, 연간 최대 20,000원 
자원순환 휴대폰 자원순환 참여 기부 1건당 1,000원, 연 5회 (5,000원) 
자원순환 줍깅/플로깅 참여 회당 2,000원, 연 20,000원 
인식제고 기후행동 서약 최초 1회에 5,000원 
인식제고 환경교육 참여 회당 2,000원, 연 20,000원 
인식제고 생물 다양성 탐사 (LUCA 앱) 포인트 당 1원, 연간 12,000원 
인식제고 추천인 소통 회당 200원, 연간 2,000원 

*참고: 이 구성은 2025년 시행 이후 확대 개편된 기준입니다.


최근 변화도 있어요! (2025년 9월 기준)

시니어 참여 문턱 낮췄어요

기존 ‘걷기’ 항목은 하루 8,000보 이상 걸어야 리워드를 받을 수 있었지만, 만 70세 이상 어르신은 하루 5,000보로 기준을 낮추고, 보상금도 하루 200원 → 300원으로 인상, 월 최대도 4,000원 → 6,000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.

또한 노인복지관 등에서 앱 사용법 교육도 함께 제공해 고령층의 접근성을 대폭 높였어요.


요약해볼까요?

  • 누구나 참여 가능: 만 7세 이상 경기도민이라면 누구든 실천 활동 후 리워드 받을 수 있어요.
  • 연간 최대 60,000원 지역화폐로 보상해줘요.
  • 시니어 대상 참여 기준 완화 및 보상 상향으로 더 많은 세대가 참여하기 쉽게 개선되었어요.
  • 빛나는 정책 취지: 일상 속 작은 행동 하나에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, 경제적 보상까지 이루는 실천 중심 정책이라는 점이 정말 인상적이에요.

마무리하며

기후행동 기회소득은 단순히 환경 보호를 넘어 도민의 건강, 교통, 자원 순환 참여, 공동체 연결 등 다양한 의미를 함께 담고 있어요.

매일 걷고, 자전거 타고, 다회용기 쓰는 작은 실천이 지역 경제와 환경까지 바꾸는 힘이 된다니, 지금 바로 참여해 보는 건 어떨까요?